티스토리 뷰
목차
당신은 지금 연차수당을 제대로 받고 계신가요?
2025년부터는 정기 상여금과 각종 수당이 통상임금에 포함되며, 연차수당의 기준도 달라졌습니다.
하지만 많은 직장인들이 “얼마가 통상임금인지”, “연차수당이 얼마나 나오는지” 정확히 알지 못해 수십만 원을 놓치고 있습니다.
연차수당 계산법 (2025년 기준)
연차를 사용하지 않으면 수당으로 정산됩니다.
이때 기준이 되는 것이 바로 1일 통상임금입니다.
🔸 연차수당 공식
🔸 1일 통상임금 계산 공식

통상임금이란?
통상임금은 근로자가 통상적으로 받는 임금 중 정기적, 일률적, 고정적으로 지급되는 금액을 말합니다.
2025년부터는 통상임금 기준이 확대되어 정기 상여금, 근속수당 등도 포함됩니다.
포함되는 항목
- 기본급
- 정기 상여금 (2025년부터 포함)
- 직책수당, 근속수당 등 고정수당
제외되는 항목
- 식대, 교통비 (복리후생 목적)
- 불규칙하거나 조건부 지급 수당
🎯 통상임금은 연차수당, 연장근로수당, 야간수당, 퇴직금 산정 기준이 됩니다.
실전 계산 예시
- 기본급: 2,000,000원
- 정기상여금: 300,000원
- 직책수당: 200,000원
- 월 근로시간: 209시간
- 1일 근무시간: 8시간
- 미사용 연차: 5일
월 통상임금 합계 = 2,000,000 + 300,000 + 200,000 = 2,500,000원
1일 통상임금 = 2,500,000 ÷ 209 × 8 ≈ 95,694원
연차수당 = 95,694 × 5일 = 478,470원
👉 이처럼 연차 5일만 안 써도 거의 50만 원을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
통상임금 계산기 사용법
복잡한 계산은 걱정 NO!
고용노동부 공식 통상임금 계산기를 이용하면 누구나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입력 항목
- 월 기본급
- 정기 상여금
- 직책수당, 근속수당 등 고정 수당
- 월 소정근로시간 (보통 209시간)
- 1일 근로시간 (보통 8시간)
계산기 자동 산출 항목
- 통상시급
- 1일 통상임금
- 총 연차수당
- 퇴직금 예상액까지 가능
사용 가능한 공식 계산기 사이트
- 고용노동부 통상임금 계산기
- 노동OK 계산기
- 노무사 사무소 홈페이지 등요한 이유
통상임금이 높을수록 다음 항목의 금액도 함께 증가합니다:
연차수당 | 1일 통상임금 × 미사용 연차 |
연장·야간근로수당 | 통상임금 기준 50% 가산 |
휴일근로수당 | 통상임금 기준 50~100% 가산 |
퇴직금 | 1일 평균임금(통상임금 영향 있음) |
자주 묻는 질문 (Q&A)
Q1. 통상임금은 무조건 기본급인가요?
아니요. 2025년부터는 정기 상여금, 직책수당 등도 포함됩니다.
Q2. 계산기가 복잡하지 않나요?
아니요. 금액만 입력하면 표로 결과가 바로 나옵니다.
Q3. 통상임금이 왜 중요한가요?
모든 법정 수당(연차, 연장근로, 퇴직금 등)의 기준이 됩니다.
Q4. 수당이 비정기적이라면 포함 안 되나요?
네, 매월 고정적이지 않거나 근무성과에 따라 달라지는 수당은 제외됩니다.
Q5. 퇴직 시 연차수당도 정산되나요?
네. 미사용 연차가 있다면 퇴직 시 반드시 수당으로 지급해야 합니다.
결론: 내 연차수당, 직접 확인해보세요
통상임금은 단순한 숫자가 아닌 당신의 시간과 노력의 가치입니다.
2025년 기준으로 바뀐 규정은 우리 월급에 직접 영향을 줍니다.


















